재테크/주식/증권

주당순자산(BPS) - 주식 상식 용어

solarwind 2008. 7. 9. 23:23
반응형
주당순자산(BPS : Book-value Per Share)은 순자산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순자산은 통상 대차대조표의 자본합계를 말한다. 자본합계는 자본금,자본준비금,이익준비금의 합이다. 순자산은 때로는 부채항목의 충당금 중에서 이익유보성을 지닌 금액을 가산한 실질순자산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토지 등의 고정자산과 주식 등의 유가증권을 시가로 평가해 실질순자산을 구하기도 한다.
주당순자산 역시 기업의 규모가 다를 경우 규모만으로 여러기업의 안정성을 비교하기가 어려운 만큼 1주당 순자산의 규모로 기업을 평가할 수 있다.
회사가 해산되는 경우 부채를 전부 갚고도 남는 것이 순자산이므로 주당순자산은 회사가 해산되었을 때 1주당 돌려받 수 있는 금액이라고 볼 수 있다. 주당순자산은 해산가치(청산가치)라고 할 수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의 해산가치로서는 대차대조표에 나타나지 않는 여유자산이나 장부외의 채무까지 순자산에 포함해 산출할 필요가 있다. 자기자본 중에서 자본금외의 내부유보가 풍부할수록 주당순자산이 높아지게 된다.
주당순자산은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지표로 쓰이고 있다.
또한 주당순자산은 주식의 가격을 결정하는데 있어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주당순자산이 높을수록 기업의 안정성이 높으므로 주가에는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일례로 주당순자산이 10,000원일 경우 기업이 해산을 해도 1주당 10,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에 그만큼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는 커지게 된다.
특히 앞서도 지적했지만 대손충담금, 이익적립금, 시가와 차이가 많은 자산 등을 포함시킨 실질순자산이 많은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재평가하거나 자산으로 편입할 경우 주당순자산이 늘어나게 되고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