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 83

고정자산, 유동자산,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경상이익, 당기순이익 - 주식 상식 용어

고정자산 고정자산은 회사의 영업활동을 위해서 보유하는 건물·기계장치·차량운반구·토지·공기구·비품 등의 유형고정자산과, 영업권·특허권·상표권·실용신안권·차지권 등의 무형고정자산으로 구분된다. 고정자산은 유동자산과 반대되는 의미의 자산으로 1년 이내에 현금화가 불가능한 자산을 말한다. 유동자산 유동자산은 현금으로 회수하는 데 1년 이내에 가능한 자산을 말하는 것으로 당좌자산, 재고자산, 기타 유동자산으로 다시 나뉘어진다. 당좌자산은 1년 이내에 쉽게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현금·예금·유가증권·외상매출금·받을어음·단기대여금·미수금 등이 있다. 자본잉여금 자본잉여금은 자본거래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주식발행초과금·감자차익·합병차익·재평가적립금·공사부담금 등이 이에 속한다.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은 손익거래에..

경제적부가가치(EVA) - 주식 상식 용어

EVA(Economic Value Added : 경제적부가가치)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가치의 실제 증가분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기업의 세후 영업이익에서 거기에 투하된 자본에 대한 자본비용을 차감하여 구한다. 만일 기업의 세후 영업이익이 그 이익을 얻기 위해서 투자된 자본을 은행에 맡겼을 때 받게 되는 이자보다 적게 되면 경제적 부가가치는 마이너스가 되어 경영이 효율적이지 못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주식 상식 용어

자기자본이익률(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을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ROE는 동일한 수익을 올리는 여러 회사들을 비교함에 있어 어느 회사가 가장 적은 자기자본을 상용하는 가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여기서 자기자본이라고 함은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을 말한다. 이를 장부상 자기자본이라고도 하는데 그 외에도 장부상 자기자본에다 실질적인 자산평가 가치와 부채평가 가치를 가감한 실질적 자기자본을 사용하기도하나, 이는 일반인들이 정확하게 도출하기 힘들기 때문에 보통 장부상 자기자본을 이용한다. ROE는 자기자본에 대한 순수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비율로 투자자 입..

손익계산서 - 주식 상식 용어

손익계산서란 기업의 경영성과를 명확하게 보고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 기업의 순자산의 변동원인과 영업활동 흐름을 즉, 경영성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손익계산서는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경상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당기순이익 등으로 크게 구분되어 작성된다. 이처럼 항목을 구분하여 작성하는 것은 기업의 활동에 대한 성과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공제하여 산출한다. 매출액은 상품이나 제품의 판매와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생긴 수익을 말하는 것이며, 매출원가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소요된 비용과 매출수익을 얻기 위한 활동시 발생한 비용을 말한다. 매출총이익은 그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영업이..

돈 관리 요령

재테크 다음 경제적 지칭음 습관처럼 생활화하라 연체료는 이제 그만 모든 계정을 자동화하는 작업에 착수해라. 매월 불입금이 은행 계좌에서 자동으로 이체되도록 할 것. 기타 관리비, 통신비 등도 자동이체를 한다. 예산을 짜기가 훨씬 수월해지고 연체료 내는 일도 없어진다. 적립식 펀드의 이점을 활용 매달 일정액을 뮤추얼 펀드에 투자해라. 그러면 주가가 하락했을 때 더 많은 주식을 구입할 수 있고, 비쌀 때는 적게 구입해서 구매 단가를 낮춰주는 이점이 있다. 요즘 거치식보다 적립식 상품이 각광을 받는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구두쇠가 돼라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펀드를 골라낸다. 꾸준한 조사와 탐색이 당신의 투자 비용을 낮춰줄 것이고, 결과적으로 고수익을 올릴 가능성을 높여주게 된다. 수탁액이 늘고 있거나 꾸준하게..

재테크 2008.07.01

신혼부부 재테크

1. 통장통합은 기본이다. 통장과 신용카드가 많이 있어서 좋은점은 무엇일까? 없다가 정답이 되어야 한다. 관리하기만 귀챦을뿐. 만일 두 사람이 각자 동일한 목적의 통장이나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결혼과 동시에 통장을 합치는 작업을 진행하라. 자연스럽게 주거래은행과 주사용 카드가 정해지고 관리도 수월해질 것이다. 2. 주변의 재정 전문가와 상담하라. 보험사 FP와 은행의 PB들, 증권FP들과 여러분은 얼마나 친하신지 스스로 반문해 보기 바란다. 여러분들은 여러분을 둘러싼 주변의 많은 재정설계사들을 단지 돈만 집어주고 있지는 않은지? 자신의 재정문제와 투자상담을 주변의 FP들에게 의뢰하고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는다면 한층 나아질 것이다. 3. 단기와 장기 재테크 목표를 병행하라. 모든 목표에는 단기와 중기,..

재테크 2008.06.25

돈버는 60가지 지혜~

1.부자 옆에 줄을 서라. 산삼 밭에 가야 산삼을 캘 수 있다. 2.부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부자가 되어있다. 3.항상 기뻐하라. 그래야 기뻐할 일들이 줄줄이 따라온다. 4.남의 잘됨을 축복하라. 그 축복이 메아리처럼 나를 향해 돌아온다. 5.써야할 곳 안 써도 좋을 곳을 분간하라. 판단이 흐리면 낭패가 따른다. 6.자꾸 막히는 것은 우선 멈춤 신호다. 멈춘 다음 정비하고 출발하라. 7.힘들어도 웃어라. 절대자도 웃는 사람을 좋아한다 . 8.들어온 떡만 먹으려 말라. 떡이 없으면 나가서 떡을 만들라. 9.기도하고 행동하라. 기도와 행동은 앞바퀴와 뒷바퀴다. 10.자신의 영혼을 위해 투자하라. 투명한 영혼은 천년 앞을 내다본다 11.마음의 무게를 가볍게 하라. 마음이 무거우면 세상이..

재테크 2008.06.25

생계형 비과세 저축이란?

생계형 저축이란 조세특례제한법에 의거하여 저축원금 3천만원이내에서 발생하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하여 전액 비과세처리하는 저축입니다. 1. 가입대상자 소득세법상 거주자로서 전금융기관을 통한 1인 다계좌 가능.(한도 내에서) - 만 60세이상의 노인 - 장애인: 장애인등록증 등으로 확인 - 국가유공자: 국가유공자증 등으로 확인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2호의 규정에 의한 수급자 - 독립유공자와 그 가족 또는 유족: 독립유공자증 등으로 확인 2. 대상저축 저희은행에서 생계형저축으로 가입할 수 있는 모든 저축 3. 가입한도 1인당 저축원금기준으로 3천만원이하 4. 장점 - 이자소득에 대한 전액 비과세로 금리우대효과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 - 기존의 비과세상품, 세금우대저축과 별도로 가입 ..

재테크 2008.06.25

신입사원 재테크 전략

신입사원 재테크 전략 1. 월급 50%는 꼭 저축하라. 신입사원의 재테크 원칙 중 첫 번째는 월평균 소득의 50%이상을 저축해 재테크의 종자돈을 마련하는 것이다. 종자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비과세저축을 활용하는 게 좋다. 추천할 만한 비과세상품으로는 신근로자우대저축 장기주택만련저축 연금신탁이 있다. ◇ 신근로자우대저축 비과세상품으로 연간 총급여가 3천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가입할 수 있다. 가입금액은 월 1만원 이상 50만원 이하다. 가입금액은 3년 이상 5년 이하인데 3년만 지나면 언제든지 중도해약하더라도 불이익이 전혀 없다. 금리는 금융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연8.5%내외다. 3년 후면 원금 1천8백만원에 이자 2백35만원으로 총 2천35만원이 된다. 결혼을 하거나 주택자금으로 활용하기에도 좋다...

재테크 2008.06.25

CMA 통장 이란?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에 약자입니다 CMA는 간단하게 자산관리통장이라 이해하면 되겠구요 주로 여유자금 (비상금) 통장으로 이용하기 좋은 통장이라 생각 됩니다 입출금 상품 : 보통예금통장, 저축예금통장, CMA, MMF 등이 있겠습니다 보통예금통장 혹은 저축예금통장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은행 통장입니다 다만 이 통장에 경우 이자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일반은행 기준 0.1% 혹은 0.2%로에 이자 밖에 지급을 하지 않는 상품입니다 다시 말해서 안전하게 나두는 계념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CMA, MMF는 은행 상품이 아닌 증권사 (투신사, 종금사) 상품으로 수시 입출금 가능 하면서 연 5%전후에 이자를 받을수 있는 상품이 되겠습니다 현재는 은행, 증권사, 종금사 등에서..

재테크 2008.06.25
반응형